대한민국 예능의 새 지평을 연 나영석 피디.
그가 손대는 예능은 모두 소위 말하는 "대박"을 쳤는데요. 그의 뛰어난 콘텐츠 감각의 관한 이야기를 미디컴 여러분들과 함께 보기 위해
롱블랙에서 발췌해왔습니다 :)
중요한 건, 꺾이지 않는 마음 이 아닌 (물론 이 말도 맞지만) 기획의 심지를 지키는 것이라는 나영석 피디
그의 콘텐츠 감각, 함께 느껴보시지요 :)
나영석 PD
나영석. 이 이름을 한 번도 안 들어본 한국인이 있을까요? <1박2일>부터 시작해 <삼시세끼> <꽃보다할배> <신서유기> <윤식당> <알쓸신잡> <뿅뿅지구오락실>… 대한민국 대표 예능을 숱하게 만들어 온 사람이죠. 백상예술대상에서 예능 PD 최초로 대상도 받았어요. 출연은 덤! 최근에는 유튜브까지 영역을 넓히는 중이에요. 그가 23년 차 현역 PD로서 내놓은 프로그램은 여전히 동시대 시청자들과 주파수가 통해요. 시청률이 높거나, 화제성이 높거나. 혹은 둘 다거나. 어떻게 가능한 걸까요? 나영석 PD는 “나는 그렇게 대단한 크리에이터가 아니다”고 말해요. “내가 좋아하는 걸 아주 조금씩, 시대에 맞춰 형태를 바꿔나갔을 뿐”이라면서요.
Chapter 1. 내가 만든 걸 더 많은 사람에게 보여주고 싶다
‘공무원이 장땡이다.’ 대학 진학을 앞둔 나영석은 아버지 말을 믿고 행정학과에 갔어요. 하지만 대학생활은 지독히 지루했죠. 학교에 사람이 많은 것도, 강의가 어려운 것도. 뭐 하나 마음에 드는 게 없었어요. 그러던 어느 날, ‘대학 생활을 이렇게 허무하게 보낼 수 없다’고 생각해요. 정 붙일 곳을 찾다가 연극반으로 갔죠. 즐거움과 안정감, 동료의식. 연극반은 그의 마음에 쏙 들었어요. 한 가지 문제는 동료들과 밤새워 만든 연극을 보러 오는 사람이 없었다는 것. ‘좀 더 많은 사람에게 말을 걸 순 없을까.’ 고민하다 코미디 연극을 선보여요. 그런데 그게 또 너무 재밌더래요. 태어나 처음으로 ‘뭔가가 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 만큼 말이죠.
“4년 내내 했던 연극 덕분에 나는 콘텐츠 만들 때 즐거운 사람이란 걸 깨달았어요. 만드는 즐거움이 커질수록, 만든 걸 더 많은 사람에게 보여주고 싶다는 마음도 커졌어요.”
잘하는 걸 열심히 한다
‘코미디 대본을 쓰는 작가가 너무나 되고 싶다!’ 인기 시트콤 <세 친구>의 막내 작가 자리에도 지원해 봤지만 떨어졌죠. 뒤이어 들어간 영화사는 얼마 안 가 부도로 망했어요. 간신히 충격을 떨치고는 PD 시험을 보기로 해요. ‘이번이 마지막이다’ 생각하며.
“기자도 아니고 왜 PD 뽑으면서 시사상식이나 논술 시험을 치르는지 이해가 안 됐어요. 결국 시사상식과 논술은 포기하고, 오로지 기획안 테스트에만 매달렸죠. ‘잘하는 걸 열심히 한다’는 게 제 신조기도 했고요. 모든 걸 어중간하게 잘하는 사람보단, 뭐 하나라도 반짝이는 구석이 보이는 사람을 더 좋아할 거라 생각했습니다.”
예상은 적중했어요. 2001년 KBS 공채에 합격했죠. 당시 나 PD는 <냉장고를 열어라>란 프로그램의 기획안을 냈어요. 셰프가 연예인 집을 방문해, 냉장고에 있는 식재료만으로 요리한다는 아이디어였죠. 헉, 2014년 방영된 JTBC의 <냉장고를 부탁해>와 비슷한 포맷!
chapter 2. 1박 2일 : ‘리얼 버라이어티’라는 새 장르를 만들다
나 PD를 세상에 알린 프로그램은 <1박2일>이에요. <1박2일>은 우연한 계기에서 탄생했어요. 전신이었던 <준비됐어요>란 프로그램의 시청률이 저조했거든요. 강호동이 MC였는데도 말이죠. 위에서 “싹 다 바꿔”라는 명령이 떨어져요. 제작진들은 이번엔 꼭 성공해야 한다는 절박함을 갖고, 새 프로그램을 고민했죠.
“좋은 프로그램은 ‘발명’되는 것인가, ‘발견’되는 것인가. 어느 쪽인지는 몰라도 한 가지는 확실하다. 좋은 프로그램이란 다음의 세 가지를 만족시킬 때에야 비로소 만들어진다는 것. 첫째, 새로울 것. 둘째, 재미가 있을 것. 셋째, 의미가 있을 것. 그리고 가장 우선시해야 할 요소는 바로 ‘새로워야 한다’는 명제다.” _나영석, 『어차피 레이스는 길다』 중에서
그렇다고 <준비됐어요>를 무턱대고 중단할 순 없었어요. 일단 프로그램 안에서 여러 실험을 해보기로 하죠. 예를 들면 ‘복불복福不福’ 게임 같은 거요. 한 번은 출연자들을 폐교로 데려가서 복불복 게임을 시켰어요. 유독 가수 은지원 씨가 겁에 질려있더래요. 알고 보니 그는 정말로 귀신의 존재를 믿는 사람이었던 거죠. 그 순간 나 PD는 깨달음을 얻어요.
“잊고 있던 진실을 ‘발견’한 순간이었어요. 복불복 같은 새로운 형식이 중요한 게 아니었어요. 출연자들이 상황에 얼마나 몰입하는가가 중요하죠. 그때부터 출연자들이 괴로워하고, 두려워할 만한 상황을 만들고자 노력했어요. 밥도 굶기고 잠도 밖에서 재우고… 물론 시청자가 불쾌해하지 않을 만큼 감도를 지키면서. 그러려면 시간이 1박2일은 필요하지 않을까? 싶었고, 그렇게 <1박2일>이 탄생한 거예요.”
프로그램 콘셉트를 동료들에게 들려주자, 이명한 PD가 촬영 아이디어를 보탰대요. “출연자 한 명 한 명한테 6mm 카메라를 하나씩 붙이자”고. 오프닝부터 클로징까지 생각할 틈을 주지 말고 계속 찍자는 얘기였죠. 반신반의하며 그렇게 <1박2일>을 첫 촬영했죠. 마침내 다가온 첫 내부 시사회 날. 1박2일이나 촬영 했더니, 멤버들이 점점 카메라를 의식하지 않는 모습이 찍혔더래요. 표정이 살아 있었고 편해 보였어요. 엄청난 재미는 아니었지만 보는 내내 엷은 미소가 나왔죠. 무사히 내부 시사를 넘겨요. 대망의 첫 방송부터 시청률 두 자릿수가 나왔어요. 이후 <1박2일>은 최고 시청률 43%를 달성하며 국민 프로그램이 됐죠.
두근거림을 좇아서 하는 게 일이다
빛이 강한 만큼 그림자가 짙은 법이죠. 프로그램이 성공할수록 부담감이 나 PD를 덮쳐요. 무리해서 촬영하는 날은 늘어갔고, 가족들 얼굴 한 번 못 보는 날 역시 이어졌죠. 그즈음 종합편성채널이 생겨났고 케이블 방송사가 커졌어요. 나 PD를 스카우트하겠다며 여기저기서 연락이 오기 시작해요. “몸값이 올라갔다”는 생각에 뿌듯했지만, 자식 같은 <1박2일>을 그만둘 순 없었어요. 마음을 다잡고 정진했죠. 하지만 <1박2일> 출연자들에게 안 좋은 소식이 연이어 닥쳤어요. 결국 시즌1의 종영 날짜가 정해졌고, 프로그램과 느닷없이 작별을 맞이해요. 설상가상 KBS 파업도 시작됐어요. 그에게 처음으로 무기한 휴식이 주어져요.
“100일 정도 쉬었을까요. 어느새 머리에 아이디어가 차곡차곡 쌓였어요. 친한 동료에게 이 아이디어를 들려주면서 저 자신이 신난 게 느껴졌어요. ‘나, 다시 일을 하고 싶구나’ 깨달았죠. ‘일이란 머리가 아닌 가슴의 명령을 따라야 한다는 것, 성공이 아닌 두근거림을 쫓아야 한다는 것.’ 그런 당연한 진리를 다시금 얻었달까요.”
2012년 나 PD는 막역한 사이인 이명한 PD와 이우정 작가가 있는 CJ ENM으로 이직해요. 그곳에서 <꽃보다할배> <삼시세끼> 등 걸출한 프로그램을 제작하기 시작했죠.
댓글0